존 테이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테이트(John Torrence Tate, 1925년 3월 13일 ~ 2019년 10월 16일)는 미국의 수학자이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학사 학위를,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수적 수론과 산술 기하학 분야에 크게 기여했다. 테이트는 테이트 논문, 테이트 코호몰로지 군, 테이트 쌍대성, 테이트 곡선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으며, 1956년 콜 상, 1995년 르로이 P. 스틸 평생 공로상, 2002/03년 울프 수학상, 2010년 아벨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 맥도날드 천문대
맥도날드 천문대는 텍사스 데이비스 산맥에 위치한 천문대로, 텍사스 대학교의 지원 아래 운영되며 다양한 망원경과 시설을 갖추고 천문학 연구 및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 하비-에버리 망원경
하비-에버리 망원경은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천체 관측 도구이다.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교수 - 스티븐 와인버그
스티븐 와인버그는 전자기력과 약력을 통합한 전약 통일 이론을 제시하고, 양자장론, 우주론, 과학사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과학 대중화에도 기여했다. -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교수 - 앨런 J. 바드
앨런 J. 바드는 전기화학 분야의 선구적인 업적을 남긴 저명한 미국 화학자로, 텍사스 오스틴 대학교에서 평생 연구하며 전기화학 표준 교재를 저술하고 다양한 분석 방법 개발에 기여했다.
존 테이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존 토렌스 테이트 2세 |
출생일 | 1925년 3월 13일 |
출생지 |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
사망일 | 2019년 10월 16일 |
사망지 | 미국 매사추세츠주 렉싱턴 |
국적 | 미국 |
분야 | 수학 |
근무 기관 | 프린스턴 대학교 (1950–1953) 컬럼비아 대학교 (1953–1954) 하버드 대학교 (1954–1990)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 (1990–2009) |
모교 | 하버드 대학교 (BA) 프린스턴 대학교 (PhD)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Number Fields and Hecke's Zeta Functions에서의 푸리에 해석 (Fourier Analysis in Number Fields and Hecke's Zeta Functions) |
박사 학위 취득 년도 | 1950년 |
지도 교수 | 에밀 아르틴 |
주요 제자 | 조지 버그만 조 P. 뷸러 버나드 드워크 베네딕트 그로스 로버트 코트비츠 V. 쿠마르 무르티 스티븐 리히텐바움 조너선 루빈 제임스 S. 밀른 칼 포메란스 케네스 앨런 리벳 마이클 슐레진저 조지프 H. 실버만 디네시 타쿠르 제럴드 B. 터널 윌리엄 C. 워터하우스 |
업적 | |
주요 업적 | 테이트 대수 테이트 코호몰로지 군 테이트 추측 테이트 곡선 테이트 쌍대성 테이트 모듈 테이트 페어링 테이트 꼬임 테이트 알고리즘 테이트의 동종 이형 정리 테이트 논문 테이트-샤파레비치 군 아르틴-테이트 보조정리 바르소티-테이트 군 버치-테이트 추측 호지-테이트 모듈 혼다-테이트 정리 코쥘-테이트 해상도 루빈-테이트 형식 군 법칙 네론-테이트 높이 사토-테이트 추측 세르-테이트 정리 강체 해석 기하학 강체 해석 공간 |
수상 | |
수상 경력 | 아벨 상 (2010) 울프 수학상 (2002/03) 르로이 P. 스틸 상 (1995) 콜 상 (정수론) (1956) |
2. 생애
존 테이트는 미니애폴리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존 토런스 테이트 1세(John Torrence Tate, Sr.영어)는 미네소타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였고, 어머니 로이스 비애트리스 포슬러(Lois Beatrice Fossler영어)는 고등학교 영어 교사였다. 테이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 학사 학위를 받았고, 프린스턴 대학교 물리학부에 대학원 과정으로 입학하였다가 수학부로 옮겨 1950년 에밀 아르틴의 지도 아래 박사 학위를 받았다.[1]
이후 36년 동안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0년에 텍사스 대학교 오스틴으로 옮겼다. 2009년에 은퇴하였으며, 2019년 매사추세츠주 렉싱턴 자택에서 94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3][4][5]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존 테이트는 1925년 3월 13일 미니애폴리스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존 토런스 테이트 1세(John Torrence Tate, Sr.영어)는 미네소타 대학교의 물리학 교수였고, 어머니 로이스 비애트리스 포슬러(Lois Beatrice Fossler영어)는 고등학교 영어 교사였다.[1] 테이트는 하버드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하여 1946년에 학사 학위를 받았다.[1] 프린스턴 대학교 물리학부에 대학원 과정으로 입학하였으나, 이후 수학부로 옮겨 1950년에 에밀 아르틴의 지도 아래 〈수론체에서의 푸리에 해석과 헤케의 제타 함수〉(Fourier analysis in number fields and Hecke's zeta-functions영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1]
2. 2. 학문적 경력
테이트는 1950년 에밀 아르틴의 지도 아래 "수론체에서의 푸리에 해석과 헤케의 제타 함수"라는 제목의 박사 학위 논문을 완성한 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그 후 36년간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하다가, 1990년에 텍사스 대학교으로 옮겨 시드 W. 리처드슨 재단 리전트 석좌교수로 재직했다.[2] 2009년에는 텍사스 대학교 수학과에서 은퇴하여 하버드 대학교 명예 교수로 돌아갔다.[15]2. 3. 개인적인 삶
테이트는 두 번 결혼했다. 첫 번째 부인은 그의 지도 교수 에밀 아르틴의 딸인 카린 아르틴이었으며, 슬하에 세 딸을 두었다.[16] 카린 아르틴과 이혼 후 캐롤 맥퍼슨과 재혼하였다.[16]2. 4. 사망
테이트는 2019년 10월 16일 매사추세츠주 렉싱턴 자택에서 94세로 사망하였다.[3][4][5]3. 주요 업적
존 테이트는 대수적 수론, p-진 호지 이론, 산술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수론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업적은 세르주 랭, 장피에르 세르, 조지프 H. 실버만 등에 의해 작성되기도 했다.
3. 1. 대수적 수론
테이트 논문(1950)은 아델 링과 자기 쌍대성을 이용한 수론적 푸리에 해석을 도입하여, 현대 오토모픽 형식 이론과 L-함수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이는 이와사와 겐키치의 연구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다.[6]에밀 아르틴과 함께 군 코호몰로지 기법을 사용하여 전역 유체론에 대한 코호몰로지적 처리를 제공하고, 전역체의 브라우어 군 계산의 대수적 구조를 명확히 했다.[6]
이후 테이트는 테이트 코호몰로지 군을 도입했다. 그는 테이트 쌍대성, 테이트-샤파레비치 군, 대수적 K-이론과의 관계를 통해 갈루아 코호몰로지의 범위를 확장했다.
조나단 루빈과 함께 형식 군을 사용하여 국소 유체론을 재구성하여 복소수 곱셈의 루빈-테이트 국소 이론을 만들었다.
3. 2. p-진 호지 이론 및 관련 분야
테이트는 p-진수 이론에 여러 중요한 기여를 했다. 예를 들어, 테이트가 발명한 강성 해석 공간은 강성 해석 기하학 분야를 탄생시켰다고 할 수 있다.[6] 그는 호지-테이트 이론이라고 불리는 호지 이론의 p-진수 유사체를 발견했는데, 이는 현대 대수적 정수론의 핵심 기술로 발전했다.[6]그는 또한 특정 p-진 타원 곡선에 대한 "테이트 곡선" 매개변수화와 p-가분 (테이트-바르소티) 군을 만들었다.[6]
3. 3. 기타 업적
장피에르 세르와 함께 아벨 다양체의 좋은 축약에 관한 논문을 발표했다. 혼다 다이라와 함께 유한체 상의 아벨 다양체를 분류하여 혼다-테이트 정리를 발표했다.[7]테이트 추측은 에탈 코호몰로지에 대한 호지 추측과 동일하며, 대수적 다양체의 ℓ-adic 코호몰로지에 대한 갈루아 작용과 관련된다. 이 추측은 대수적 사이클을 골라내는 "테이트 사이클"(적절하게 테이트 꼬임된 작용에 대한 고정 사이클)의 공간을 식별하는 것이라고 추측된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열려 있는 이 추측의 특별한 경우는 게르트 팔팅스의 모델 추측 증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테이트의 이름을 딴 주요 업적은 다음과 같다:
- 테이트 쌍대성
- 테이트 곡선
- 네론-테이트 높이
- 바스-테이트
- 매주어-테이트-테이텔바움
- 호지-테이트 분해
- 테이트 트위스트
- 사토-테이트
- 루빈-테이트 군
- 샤파레비치-테이트 군
- 멈포드-테이트 군
- 아르틴-테이트 공식
- 이와사와-테이트의 제타
3. 4. 제자 양성
테이트는 박사 학위 지도교수로서 조지 버그만, 테드 친버그, 버나드 드워크, 베네딕트 그로스, 로버트 코트비츠, 조나단 루빈, 켄 리벳 등 저명한 수학자들을 배출했다.[6]4. 수상 및 영예
연도 | 수여 기관 | 상 | 비고 |
---|---|---|---|
1956년 | 미국 수학회 | 콜 상 | 수론 부문 |
1958년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 회원 | |
1969년 |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 회원 | |
1992년 |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 외국인 회원 | |
1995년 | 미국 수학회 | 르로이 P. 스틸 평생 공로상 | |
2002/03년 | 울프 수학상 | 대수적 수론의 기본적인 개념 창조 | |
2010년 | 노르웨이 과학 문학 아카데미 | 아벨상 | "수론에 대한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영향"[14] |
2012년 | 미국 수학회 | 회원 |
5. 저서
- 테이트, 존 (1950). 《수론적 체에서의 푸리에 해석과 헤케 제타 함수》. 프린스턴 대학교 에밀 아르틴 지도 하의 박사 학위 논문. 카셀스, J. W. S.; 프뢸리히, 알브레히트 엮음. 《대수적 수론》 (런던: Academic Press, 1967), 305–347쪽. 에 재수록.
- 테이트, 존 (1952). “체론의 고차원 코호몰로지 군”. 《Ann. of Math.》 '''56''' (2): 294–297.
- 랑, 세르주; 테이트, 존 (1958). “아벨 다양체 위의 주 균질 공간”.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80''' (3): 659–684.
- 테이트, 존 (1965). 〈대수적 사이클과 제타 함수의 극점〉. 《산술 대수 기하학 (Proc. Conf. Purdue Univ., 1963)》. 뉴욕: Harper & Row. 93–110쪽.
- 루빈, 조나단; 테이트, 존 (1965). “국소체에서의 형식적 복소수 곱셈”. 《Annals of Mathematics》 '''81''' (2): 380–387.
- 테이트, 존 (1966). “유한체 위의 아벨 다양체의 자기 사상”. 《Inventiones Mathematicae》 '''2''' (2): 134–144.
- 테이트, 존 (1967). 〈'p'-가분군〉. 스프링거, T. A. 엮음. 《국소체에 관한 회의록》. Springer-Verlag. 158–183쪽.
- 아르틴, 에밀; 테이트, 존 (2009). 《체론》. AMS Chelsea Publishing. (1967년 원저)
- 세르, 장 피에르; 테이트, 존 (1968). “아벨 다양체의 좋은 환원”. 《Annals of Mathematics》 '''88''' (3): 462–517.
- 테이트, 존 (1971). “강성 해석 공간”. 《Inventiones Mathematicae》 '''12''' (4): 257–289.
- 테이트, 존 (1976). “K2와 갈루아 코호몰로지 사이의 관계”. 《Inventiones Mathematicae》 '''36''': 257–274.
- 테이트, 존 (1984). 《s=0에서 아르틴 L-함수에 대한 스타크 추측》. 진보 수학 '''47'''. 보스턴: Birkhäuser Boston, Inc.
- 《존 테이트의 저작집: 제1부 및 제2부》. 미국 수학회. 2016. https://bookstore.ams.org/cworks-24/
참조
[1]
서적
Fourier analysis in number fields and Hecke's zeta functions
https://catalog.prin[...]
1950
[2]
MacTutor
[3]
웹사이트
John T. Tate, Familiar Name in the World of Numbers, Dies at 94
https://www.nytimes.[...]
2019-10-28
[4]
웹사이트
John Tate, 1925–2019
http://www.math.harv[...]
Harvard
2019-10-17
[5]
웹사이트
Remembering Eminent UT Austin Mathematician John Tate
https://news.utexas.[...]
2019-10-18
[6]
웹사이트
American mathematician John Tate wins 2010 Abel Prize
http://news.xinhuane[...]
Xinhua.net
2010-03-25
[7]
간행물
"Classes d'isogénie des variétés abéliennes sur un corps fini (d' après T. Honda)"
Springer
1971
[8]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023-04-28
[9]
웹사이트
John Torrence Tate, Jr.
https://www.amacad.o[...]
2023-04-28
[10]
웹사이트
John T. Tate
http://www.nasonline[...]
2023-04-28
[11]
웹사이트
The 2002/3 Wolf Foundation Prize in Mathematics.
http://www.wolffund.[...]
Wolf Foundation
2010-03-24
[12]
웹사이트
List of Fellows of the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https://www.ams.org/[...]
2013-08-25
[13]
웹사이트
Gruppe 1: Matematiske fag
http://www.dnva.no/c[...]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2010-10-07
[14]
웹사이트
2010: John Torrence Tate
https://abelprize.no[...]
The Norwegian Academy of Science and Letters
[15]
웹사이트
Retired UT mathematician wins prestigious Abel Prize
http://www.statesman[...]
Statesman.com
2010-03-24
[16]
웹사이트
John Tate, 94
https://news.harvard[...]
The Harvard Gazette
2020-10-07
[17]
웹사이트
John Tate, 1925-2019
http://math.harvard.[...]
ハーバード大学 数学部HP
2019-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